본문 바로가기
2025 꿀정책

놓치면 안되는 2025년 상반기 부동산 정책6

by 티클줍줍 2025. 2. 3.

무려 1년 만에 돌아온 사노비(aka 직장인)... 분명 회사 다니기 전에는 돈은 적당~히 벌고 살지 뭐 했는데 웬걸? 일 시작하고 드는 생각 이 고생하고 이 월급?에 돈은 언제 모아 언제 집 사고 결혼하냐는 생각에 미친 듯이 경제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. 각설하고 직장인이 놓치면 안 되는 2025년 상반기 부동산 정책을 정리해 봤습니다. 당장 필요 없더라도 우선 알고있으면 좋겠죵?

 
1. 주택청약종합저축 소득공제 혜택 확대
2. 주택 담보대출 중도상환수수료 50% 인하
3. 디딤돌대출 후취담보 가능
4. 신생아 특례 대출 소득 기준 완화
5. 청년주택드림대출 출시
6.인구 감소 지역 주택 구입 세제 혜택

1. 주택청약종합저축 소득공제 혜택 확대

출처| 머니투데이

2025년부터 주택청약 소득공제 혜택이 확대되었습니다. 기존에 연 240만 원까지 납입한 금액의 40%를 소득공제받을 수 있었지만, 올해부터는 연 300만 원까지 납입한 금액의 40%를 소득공제( 연 소득 7천만 원 이하 무주택 세대) 혜택이 증가했습니다. 따라서 최대 소득공제 금액이 96만 원에서 120만 원으로 증가했고 본인뿐만 아니라 기혼자일 경우 배우자도 혜택 적용이 됩니다.

 

2. 주택 담보대출 중도상환수수료 50% 인하

출처 | 국민일보

주택 담보대출금의 중도상환 수수료가 무료 50% 인하되었습니다( 1.2~1.4% → 0.6~0.7%) 이 정책은 1월 13일 이후 신규 대출부터 적용되는 정책으로 상환수수료에 대한 부담감이 줄어들겠네요.

3. 디딤돌대출 후취담보

출처 | 동아일보

올해 상반기 입주 예정인 예비 입주자들은 서둘러야 할 소식입니다. 신축 아파트 입주 전 후취담보(잔금대출) 축소되었는데요.

후취담보란 대출자가 먼저 대출을 받은 후에 나중에 담보를 제공하는 대출 방식입니다. 축소된 내용으로 디딤돌대출 후취담보 가능 지역은 수도권 아파트에만 적용되며 2025년 6월 30일까지만 허용한다고 하니 서둘러야할 것 같습니다.

4. 신생아 특례 대출 소득 기준 완화

출처 | 연합뉴스

자녀 출산을 계획 중인 맞벌이 부부들이 특히 주목해 볼만한 정책입니다. 바로 신생아 특례 대출 소득 기준이 완화된 것인데요.

기존 대출 소득이 부부 합산 연 소득 2억 원었다면 변경된 소득 기준은 2억 5000만 원으로 고소득 맞벌이 부부도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. 참고로 추가 출산 시 1인당 0.4%p 금리 우대를 해준다고 합니다.

5. 청년주택드림대출 출시

출처 | 한겨례

청년주택드림대출은 청년층의 주택 구매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도입한 저금리 대출 상품으로 청년 주택 드림통장 1년 유지 시 주담대 연 2.2% 제공합니다.

, 연 소득 5000만 원 이하 무주택 청년에게 제공되며 6억 원 이하 주택에만 적용됩니다.

6.인구 감소 지역 주택 구입 세제 혜택

출처 | 경향신문

인구 감소 지역에서 집 사게 되면 세제 혜택이 제공되어 1주택 세금만 납부하시면 됩니다. 인구 감소 지역은 전국에 83곳, 단 공시가 4억 원(시세 약 5억~6억 원) 이내, 2026년까지만 적용된다고 하니 참고해 보시길 바랍니다.